모바일 최적화를 통한 성공적인 SEO 하기 : 7-7 프로세스

모바일 최적화를 통합 성공적인 SEO 하기 7-7 프로세스

모바일 SEO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에 맞게 웹사이트를 최적화하는 작업을 의미해요.

모바일 기기 사용이 증가하고, 구글이 모바일 중심 색인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모바일 SEO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모바일 SEO를 통해 웹사이트의 디자인, 로딩 속도, 콘텐츠 등을 모바일에 최적화하여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고, 검색 엔진에서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합니다.

모바일 사용자 증가 추이

2019년부터 모바일 기기를 통한 검색이 데스크톱을 추월했고, 2024년 6월 기준으로 모바일의 시장 점유율은 60.8%에 달하며, 데스크톱은 37.85%로 하락했습니다. 모바일 시장 점유율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웹사이트를 모바일에 최적화하는 것이 SEO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그래프 출처: Statcounter)

대한민국 모바일 사용량 2017년-2024년
대한민국 모바일 사용량 증가 추이 2017년-2024년 ( 링크▶ )
모바일 사용량 2017년-2024년
전세계 모바일 사용량 증가 추이 2017년 ~ 2024년 ( 링크▶ )


– 모바일 SEO란?

※ 모바일 기기에 맞춘 웹사이트 최적화 작업.

모바일 SEO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에 맞춰 웹사이트를 최적화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모바일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하며, 검색 엔진에서 상위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 과정에는 웹사이트의 디자인, 구조, 로딩 속도, 그리고 콘텐츠의 가시성과 가독성을 모바일에 맞게 조정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 구글 모바일 중심 색인 생성 권장

“Google에서 색인을 생성하고 순위를 지정하는 데 스마트폰 에이전트로 크롤링된 모바일 버전의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 이를 모바일 중심 색인 생성이라고 합니다.”

<출처 : Google 검색 센터, 링크▶ >

구글은 모바일 중심 색인 생성을 통해 스마트폰 에이전트로 크롤링한 모바일 버전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웹사이트를 모바일에 최적화하면 구글 봇이 더 쉽게 크롤링하고 인덱싱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검색 엔진은 웹 페이지를 크롤링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인덱싱을 통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는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2019년부터 구글은 모바일 버전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색인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크롤링도 모바일 중심으로 변경했습니다. 따라서 모바일 친화적인 웹사이트 구성은 검색 엔진에서 상위 노출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구글 검색엔진의 작동하는 방법
Understanding - How Google Search Works
< 검색엔진의 동작 원리, 출처 : Digi Marketing Magazine 링크▶ >


– 모바일 친화적인 콘텐츠 제작 7가지 가이드 (구글)

구글에서는 모바일 친화적인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7가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반응형 웹 디자인 사용

  • 반응형 웹 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을 통해 웹사이트가 다양한 화면 크기와 기기에서 적절하게 표시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URL로 모든 기기에 맞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CSS 미디어 쿼리를 사용하여 화면 크기에 따라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합니다.

2. 간결하고 명확한 콘텐츠 제공

  • 모바일 화면은 데스크탑에 비해 작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 긴 문장은 피하고, 중요한 정보를 페이지 상단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페이지 로딩 속도 최적화

  • 모바일 사용자는 데스크탑 사용자보다 페이지 로딩 속도에 더 민감합니다. 따라서, 이미지 최적화, 캐싱, 비동기 자바스크립트 로딩 등을 활용하여 페이지 로딩 시간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구글의 PageSpeed Insights를 사용해 웹사이트의 성능을 측정하고, 권장 사항을 따라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4. 터치스크린 친화적인 디자인

  • 모바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클릭 가능한 요소(버튼, 링크 등)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터치 가능한 요소들 간의 간격을 충분히 둬야 합니다.
  • ‘tap targets’가 적절한 크기와 간격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실수로 다른 요소를 터치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5. 팝업 및 방해 요소 최소화

  • 모바일 화면에서 방해가 될 수 있는 팝업 창이나 광고는 최소화하거나 적절하게 배치해야 합니다. 구글은 방해 요소가 사용자 경험을 저해할 경우 검색 순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 팝업을 사용하는 경우, 화면의 작은 부분만을 차지하거나, 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6. 모바일 SEO 최적화

  • 메타 태그, 제목, 설명 등의 SEO 요소를 모바일 사용자를 염두에 두고 최적화합니다. 구글은 모바일 친화적인 웹사이트에 더 높은 검색 순위를 부여할 가능성이 큽니다.
  • 또한, **모바일 우선 색인화(Mobile-First Indexing)**에 대비하여 모바일 버전의 콘텐츠가 데스크탑 버전과 동일하거나 더 나은 품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7. 테스트와 분석

  •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를 테스트하여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합니다.
  • 구글 서치 콘솔이나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여 모바일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개선 사항을 지속적으로 반영합니다.


이제부터 7가지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 제목을 클릭 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시리즈] 모바일 최적화 SEO 팁

콘텐츠 목차

이메일 수집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① 누구든지 인터넷 홈페이지 운영자 또는 관리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누구든지 제1항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누구든지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면서 이를 정보 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게시일: 홈페이지 제작일 부터 현재까지]